Focus
-
미래를 선도하는 경희만의 AI 융합기술, ‘MARS 2025’에서 빛나다
2025-07-11 연구/산학
인공지능(AI)의 빠른 진화가 산업과 일상에 변화를 불러오는 가운데, 경희가 AI 기술의 미래를 선도적으로 제시했다. 지난 6월 18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MARS 2025’ 박람회에서 경희는 AI 기반 다학제 융합기술을 대중에 소개하며 눈길을 끌었다. ‘MARS 2025(Mega city AI Revolution Summit)’는 화성특례시가 주최한 국내 최초 지방정부 주관 AI 박람회다. 국내외 유수 기관과 기업이 참석한 이번 행사에는 ▲㈜케이바이오헬스케어(대표 이상호 의학과 교수) ▲경희대 클라우드 컨티뉴엄 연구센터(책임 허의남 컴퓨터공학과 교수) ▲BMIR Lab & RCI Lab(공동대표 김종우·김상현 기계공학과 교수) 등 교내 창업 기업과 연구실이 참가했다.More -
차세대 배터리 소재, 이론 과학적 계산으로 규명해
2025-07-09 연구/산학
기계공학과 김두호 교수 연구팀이 차세대 리튬이온배터리 소재로 주목받는 리튬-망간-철 인산염(이하 LMFP)의 특성을 범밀도 함수 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 이하 DFT)을 기반으로 정밀 분석하고, 작동 메커니즘을 이론적으로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재료 분야의 국제학술지 『Advanced Energy Materials(IF=24.4)』에 게재됐다. LMFP는 기존의 리튬-철 인산염 배터리에 비해 높은 작동 전압을 가져 차세대 전극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충전 시 전압이 계단 형태로 뚜렷하게 변화하고, 방전 시에는 전압 곡선이 부드럽게 완화되는 비대칭적인 전압 특성에 대한 명확한 원인 규명이 이뤄지지 않았다.More -
경희의 역사를 통해 대학의 미래를 그리다
2025-07-09 교류/실천
경희기록관이 개교 76주년, 종합대학 승격 70주년을 기념하여 역사 전시회 “경희의 역사, 대학의 미래”를 개최한다. 경희의 설립과 발전의 과정을 한눈에 파악하는 한편 이전 세대 경희인들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자료로 구성된 전시다. 전시는 크게 “위대한 꿈, 담대한 도전 1949~1978”, “시대를 읽다, 사회와 호흡하다 1979~1999”, “경희의 새 비전 대학다운 미래 대학 2000~현재”의 소제목으로 구성됐다. 경희의 설립과 발전의 토대, 외연 확장을 통한 질적·양적 성장, 대학의 본질 가치를 바탕에 둔 경희의 비전 제시라는 서사 구조를 따른다. 각종 문서류, 도서간행물류 등의 기록물과 박물류, 시청각류 자료를 통해 각 시기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핵심 사항을 국영문으로 설명한 패널을 통해 그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More -
경구투여 형광 발산+암세포 선택적 파괴 신규 물질 개발
2025-07-07 의과학경희
의과대학 김도경 교수 연구팀이 빛에 반응해 형광을 발산하며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파괴하는 경구투여 가능한 신규 물질인 ‘NBSD-Chol’을 개발했다. 연구 결과는 「Lipoprotein-inspired in Situ Activatable Photo-Theranostic Nitrobenzoselenadiazole-Cholesterop for Overcoming Glioblastoma」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바이오센서 분야의 세계적 학술지 『Biomaterials』(IF=12.8)에 게재됐다. 암은 전 세계적인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다. 특히 중추신경계에 발생하는 ‘교모세포종(Glioblastoma, GBM)’과 같은 난치성 암은 치료가 어렵고 환자 삶의 질도 심각하게 낮춘다. 교모세포종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수술적 기법과 화학 요법을 병행한다. 뇌는 구조가 복잡하고 생물학적 중요도도 높기에 수술을 위해 국소 절개한다. 수술의 난도도 높다. 약물 치료 효율도 뇌-혈관 장벽으로 인해 효율이 떨어진다. 재발률이 높고 사망 사례도 많아서 예후가 안 좋은 암으로 꼽힌다.More -
GTEP 사업단, 베트남을 누비다
2025-07-04 교육
지역특화 청년무역전문가 양성사업(Global Trade Expert incubating Program, GTEP) 사업단 19기 학생들이 지난 6월 초 베트남 호찌민 SECC(Saigon Exhibition and Convention Center)에서 열린 ‘2025 베트남 국제 프리미엄 소비재 전시회(VIPREMIUM 2025)’에 참가했다. 이번 전시는 기업 관계자 없이 학생들만으로 전시를 기획하고 운영했는데, 현장에서 실제 수출계약까지 성사시키며 큰 주목을 받았다. GTEP 19기 사업단은 기능성 뷰티 브랜드 ‘큐포레(QFORET)’와 ‘라바솜(LAVASOME)’과의 산학협력을 기반으로 팀을 구성했다. 프로그램 참가 학생들은 제품 정보 정리, 수출 조건 협의, 마케팅 전략 수립, 바이어 상담, 전시 부스 운영 등 전시의 전 과정을 스스로 기획하고 실행했다. 학생들은 단순한 전시 참여자를 넘어 수출 마케팅 기획자이자 상담자, 협상가로서 전 과정을 주도했다.More
많이 본 기사
멀티미디어
신간 안내
-
외국어 교육의 미래
2025-07-02
[호모 커뮤니쿠스] AI 세상과 만나는 외국어 교육의 미래 “미래에도 계속 외국어를 배워야 할까?” 《4차 산업혁명, 교육이 희망이다》에 이은 류태호 교수의 급변하는 기술 속에서 꿈꾸는 새로운 외국어 교육 류태호 152×225 | 440쪽 | 무선 24,000원 | 2025년 7월 15일 ISBN 978-89-8222-797-4 (93370) 인공지능 시대, 외국어 교육의 미래를 말하다 교사, 학부모, 학생을 위한 미래 영어 교육 로드맵 우리나라 사람들은 과거부터 영어 교육에 진심이었다. 하지만 십 년 가까운 시간을 영어 학습에 투자해도 독해와 작문에만 익숙해질 뿐 외국인들 앞에서는 얼어붙는 이들이 대다수였다. 이제는 과거와는 많이 달라졌지만, 여전히 영어에 이러저러한 콤플렉스를 지닌 한국인들이 많다. 연예인의 멋진 외국어 발음과 유창한 대화를 전시하는 유튜브 영상에는 감탄하는 댓글들...
More -
시민의회로 가는 길
2025-06-30
시민의회로 가는 길 시민의회가 한국 민주주의를 지킨다 시민의회는 K-민주주의의 핵심 브랜드가 된다 민주적 대표성 확대와 국민통합의 길 ‘시민의회’가 답이다 국민주권 시대의 필독서 김상준 152×225 | 368쪽 23,000원 | 2025년 6월 27일 ISBN 978-89-8222-800-1 (03340) ‘시민의회(Citizens’ Assembly)’의 입법화를 주장해 온 민주주의 연구자 김상준 교수의 신간 《시민의회로 가는 길》이 출간됐다. 이 책은 저자가 20년간 걸어온 ‘시민의회로 가는 길’에 관한 기록의 글모음으로서, 한국형 시민의회론의 이론과 실천, 법제화 내용까지 담은 국내 최초의 책이다. 저자는 시민의회가 한국 민주주의를 위기에서 구하고, 나아가 세계 민주주의의 새로운 표준이 될 것으로 전망한다. 시민의회는 다양...
More